본문 바로가기

경제&증권

선물의 개념

반응형

선물거래는 하지 않고, 앞으로도 할 생각은 없지만

선물은 곧 미래에 대한 가격을 구성원들이 어떻게 판단하는지 보는 잣대이기에

투자자들의 심리를 이해해야 하는 주식시장에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최근에는 레버리지 목적의 차익거래로 활용 한다고들 하는데

내용을 알고 보는것과 모르고 남들이 그렇다고 믿고 보는 것의 차이가 있기에
주식에 대한 넓은 식견을 갖추기 위해 정리해봤다.

 

※ 부족한 내용이나 정정할 내용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기초 개념]
 

1. 주요 용어

  - 기초자산 : 만기일에 인도되는 자산. 상품선물(농축산물, 금속 등) 또는 금융선물(통화, 금리, 지수 등)로 구분

  - 만기일 : 선물계약에 의해 현물의 인도가 약속된 날.

     * 일월물 : 만기가 많이 남은 선물

     * 근월물 : 만기가 가까운 선물

  - 결제 방법 : 만기일에 현물을 인수도하는 '실물인수도', 선물가격과 현물가격의 차이만 정산하는 현금결제로 구분

  - 선물(futures) : 계약은 현재하고 물건의 인수 또는 결제는 추후에(만기일) 하는 거래방식

  - 현물(cash) : 오늘 바로 비용을 지불하고 거래(매매, 결제, 인수가 모두 동시에 이뤄짐)

  - 베이시스(Basis) : 선물가격과 현물가격의 차이

  - 콘탱고(contango) : 선물이 현물가격보다 높을 때(정상시장)

  - 백워데이션(backwardation) : 선물이 현물가격보다 낮을 때(역조시장, 저평가)

 

2. 거래 종류와 유형

  - 헤지거래, 투기거래, 스프레드 거래가 있으며 헤지와 투기에 대해서만 설명

    1) 헤지거래 : 현재 보유중인(향후 보유할) 현물의 불확실한 가격변화에 대해 리스크를 축소하거나 없애는 거래

    2) 투기거래 : 현물의 보유없이 선물의 가격변동을 예측하고 거래하여 시세변동에 대한 차익 획득 목적 거래

       ※ 주식시장의 거래 방식이 투기거래(speculation, 투기)에 해당

  - 헤지 거래의 유형

    1) 매수헤지 : 향후 주식가격이 오를 경우를 대비해 미리 특정 가격에 사겠다고 선물을 매수

       → 현재 주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데 미래에 가격이 오를 것 같을때 매수헤지를 한다.

       → 즉, 현물시장에서 현재 매도 포지션인 경우 선물시장에서는 매입 포지션을 취함

    2) 매도헤지 : 향후 주식가격이 떨어질 경우를 대비해 특정 가격에 팔겠다고 선물을 매도

       → 현재 주식을 가지고 있고 향후 가격이 떨어질 것 같을 때 매도헤지를 한다.

       → 즉, 현물시장에서 현재 매입 포지션인 경우 선물시장에서는 매도 포지션을 취함

 

3. 거래 특징

   - 선물은 제로섬 게임(zerosum)으로 한쪽의 이익은 한쪽의 손해가 발생하며 손익의 합계는 0이 됨

   - 즉, 현물과 선물의 포지션을 서로 반대로 취하면 이론적으로는 손익이 0이 됨

 


[선물에 대한 고찰]

 

1. 왜 선물을 거래하는가?

  - 현물거래만 하는 경우 가격변동에 따른 위험이 생긴다

    ※ 주식을 샀는데 가격이 떨어지거나, 주식을 아직 못샀는데 가격이 오르는 경우 비싸게 사야해서 손실이다.

  - 즉, 가격 변동성을 없애기 위해 고정된 가격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선물

  - 증거금률이 낮아 적은 금액으로 많은 금액을 취급할 수 있음(즉, 레버리지 가능)

 

2. 왜 선물을 알아야 할까?

  - 주식시장은 결국 경제적인 팩트도 중요하지만 심리가 중요하며, 그 심리를 선물 가격에 반영.

  - 선물은 현재 구성원들의 미래 가격에 대한 예측이므로, 선물 가격을 통해 주식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음

 

3. 콘탱고 상태에서는 주가의 상승, 백워데이션에서는 주가의 하락이 예상

  - 일반적으로 선물은 미래 가치에 대한 위험을 반영하기에 가격이 현물보다 높게 형성 된다.

  - 따라서 만약 현재가 콘탱고 상태라면 향후에 주가 상승 가능성이 있는것으로 판단된다

  - 반면, 백워데이션 상태인 경우 주가의 하락이 예상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주가가 선물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어서 오히려 뒤바뀐 게 아닐까 생각해본다.

이런 흐름은 역시 각국의 부양책으로 인해 시중에 많은 자금이 풀어져있기 때문일까...?

 

 

[참고]

NAVER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61817&cid=42107&categoryId=42107

매경뉴스 : https://www.mk.co.kr/opinion/columnists/view/2010/10/529176/

반응형